"배달 매출 약 30% 지불"…한솥도시락, 배달 앱 전용 판매가 운영→네티즌 갑론을박
[톱스타뉴스 이수현 기자]한솥도시락이 배달 앱 전용 판매가 별도 운영 소식을 전하며 밝힌 배달 플랫폼 수수료가 이목을 끈다.
지난 26일 한솥도시락은 공식 홈페이지에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전용 판매가 별도 운영 안내' 글을 게재했다.
한솥도시락 측은 "최근 상기 세 배달 플랫폼이 무료배달 서비스에 따른 각종 비용을 지속적으로 인상하면서, 그 모든 비용을 가맹점에 부담시켜 배달 매출의 약 30%를 배달 플랫폼에 지불하게 되어, 가맹점의 수익이 남지 않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로 인해 부득이하게 10월 1일부터 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전용 판매가를 별도 운영하게 되었음을 안내드리며, 고객님의 너그러운 양해를 부탁드리는 바입니다"라고 전했다.
끝으로 "한솥은 항상 고객님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앞으로도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라며 글을 마쳤다.
배달 플랫폼 판매가 별도 운영이 시작된 가운데, 10월 신메뉴 '한우 함박스테이크&청양 토네이도 소세지' 도시락의 경우 8,900원이지만 배달의 민족에는 9,700원으로 올라와 있다.
'사골 매생이 떡국' 역시 공식 홈페이지에는 6,900원으로 나와있지만 배달의 민족에는 7,7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한솥도시락 대표 메뉴인 치킨마요의 경우 3,800원으로 가격이 동일하다. 개나리, 진달래 도시락 역시 같았다.
한솥도시락 측이 어떤 기준으로 가격의 차등을 뒀는지는 밝히지 않은 가운데, 일부 도시락의 경우 배달 앱에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할 수 있는 상황이다.
배달 매출의 약 30%를 배달 플랫폼에 지불하게 된다는 말에 네티즌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한솥 측의 공지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지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배달업체가 자영업자 다 망하게 하려고 작정했나", "손해는 우리가 보는 거네", "배달 앱 들어올 때 최악의 가정이 현실화된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배달 앱 돈 버는 거 싫어서 전화로 포장하려는데 가격도 똑같고 리뷰 이벤트 같은 것도 없어서 뭔가 손해 보는 기분", "항상 이런 거 올라오면 커뮤에선 막 욕하고 배민 진짜 악독하다 나쁘다 한지가 벌써 코로나 이후로 4년 되었음. 4년 동안 배민 매출 떨어졌나? 아님. 계속 승승장구함 ", "전화로 주문을 하면 배달 앱으로 하라고 함"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배달 앱 수수료 문제로 인해 이미 여러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배달 플랫폼이 내세우는 '무료 배달'이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모양새가 된 상황.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수현 기자 : reporter@topstarnews.co.kr
지난 26일 한솥도시락은 공식 홈페이지에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전용 판매가 별도 운영 안내' 글을 게재했다.
한솥도시락 측은 "최근 상기 세 배달 플랫폼이 무료배달 서비스에 따른 각종 비용을 지속적으로 인상하면서, 그 모든 비용을 가맹점에 부담시켜 배달 매출의 약 30%를 배달 플랫폼에 지불하게 되어, 가맹점의 수익이 남지 않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로 인해 부득이하게 10월 1일부터 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전용 판매가를 별도 운영하게 되었음을 안내드리며, 고객님의 너그러운 양해를 부탁드리는 바입니다"라고 전했다.
끝으로 "한솥은 항상 고객님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앞으로도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라며 글을 마쳤다.
배달 플랫폼 판매가 별도 운영이 시작된 가운데, 10월 신메뉴 '한우 함박스테이크&청양 토네이도 소세지' 도시락의 경우 8,900원이지만 배달의 민족에는 9,700원으로 올라와 있다.
'사골 매생이 떡국' 역시 공식 홈페이지에는 6,900원으로 나와있지만 배달의 민족에는 7,7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한솥도시락 대표 메뉴인 치킨마요의 경우 3,800원으로 가격이 동일하다. 개나리, 진달래 도시락 역시 같았다.
한솥도시락 측이 어떤 기준으로 가격의 차등을 뒀는지는 밝히지 않은 가운데, 일부 도시락의 경우 배달 앱에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할 수 있는 상황이다.
배달 매출의 약 30%를 배달 플랫폼에 지불하게 된다는 말에 네티즌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한솥 측의 공지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지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배달업체가 자영업자 다 망하게 하려고 작정했나", "손해는 우리가 보는 거네", "배달 앱 들어올 때 최악의 가정이 현실화된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배달 앱 돈 버는 거 싫어서 전화로 포장하려는데 가격도 똑같고 리뷰 이벤트 같은 것도 없어서 뭔가 손해 보는 기분", "항상 이런 거 올라오면 커뮤에선 막 욕하고 배민 진짜 악독하다 나쁘다 한지가 벌써 코로나 이후로 4년 되었음. 4년 동안 배민 매출 떨어졌나? 아님. 계속 승승장구함 ", "전화로 주문을 하면 배달 앱으로 하라고 함"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배달 앱 수수료 문제로 인해 이미 여러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배달 플랫폼이 내세우는 '무료 배달'이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모양새가 된 상황.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수현 기자 : reporter@topstarnews.co.kr
[많이 본 이슈]
♦ 슈퍼스타 브랜드파워 투표
Copyright ⓒ 톱스타뉴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