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매출 30% 플랫폼 준다" 한솥도시락 공지에 온라인 들썩
배달 오토바이(왼쪽)와 한솥도시락 공지. 사진 연합뉴스·홈페이지
한솥도시락은 지난달 26일 올린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최근 상기 세 배달 플랫폼이 무료배달 서비스에 따른 각종 비용을 지속해서 인상하고 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 모든 비용을 가맹점에 부담해 배달 매출의 약 30%를 배달 플랫폼에 지불하게 돼 가맹점 수익이 남지 않는 상황이 됐다”고 주장했다. 비용 부담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세 플랫폼에선 가격을 별도로 책정했다는 얘기다.
사진 한솥도시락 홈페이지 캡처
한솥도시락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내세우는 도시락 업체다. 한솥도시락은 “고객님의 너그러운 양해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소식이 알려진 뒤 온라인은 들끓는 분위기다. 1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오늘 자 한솥도시락 공지로 난리 난 내용’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A 커뮤니티와 B 커뮤니티에서 해당 글은 2일 오전 기준 각각 5만5000여회, 1만5000여회 조회됐다.
본인이 자영업자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배달앱 매출 내용을 공개하며 “3만6000원어치 팔고 2만8000원이 정산된다. 쿠폰 이벤트를 하면 다 떼가고 건당 중개수수료도 뗀다. 거기에 배달비나 부가세 등을 더하면 매출 25%는 날아간다”고 주장했다. “매출 30%라면 너무 하다” “배달앱 수수료가 이 정도라면 포장하거나 가게로 직접 가겠다”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배달앱 비용 아끼려고 매장에 직접 가도 포장비를 더 받더라”는 소비자 하소연도 있었다.
배달앱의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7월 정부 주도로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가 출범했지만 지난달 24일 열린 5차 회의에서도 이렇다 할 중재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
맥도날드·롯데리아·버거킹·KFC와 같은 일부 외식 업체는 이중가격제를 도입해 배달앱의 수수료 인상 등에 대응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배달앱에도 소비자가 이중가격제를 잘 알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
▶
▶
▶
▶
▶
▶
▶
▶
▶ /
▶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채혜선 chae.hyese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