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배달 앱이 매출 30% 가져가…더 비싸게 팔 수밖에" 공지한 업체

도시락 프랜차이즈 업체인 한솥도시락이 이달부터 매장 내 판매가격과 배달 앱 내 판매가격을 달리하는 이중가격제를 도입한다. /사진=한솥 홈페이지
도시락 프랜차이즈 업체인 한솥도시락이 이달부터 배달 플랫폼(이하 배달앱) 내 판매가를 매장 판매가보다 더 비싸게 받는 '이중가격제'를 도입한다. 배달 플랫폼 수수료가 높아지자 내놓은 고육지책이다.

한솥도시락은 지난달 26일 홈페이지를 통해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전용 판매가 별도 안내'라는 공지를 냈다.

업체 측은 "최근 상기 세 배달 플랫폼이 무료 배달 서비스에 따른 각종 비용을 지속 인상하고 있다"며 "이 비용을 가맹점이 부담하며 배달 매출의 약 30%를 배달 플랫폼이 가져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맹점 수익이 남지 않는 상황이기에 어쩔 수 없이 전용 판매가를 운영하게 됐다"며 "너그러운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는 배달 플랫폼이 가져가는 비용이 큰 점을 고려해 매장 내 판매가보다 더 비싸게 판매하겠다는 얘기다.

실제 홈페이지 내 판매 가격과 배달 플랫폼 내 가격을 비교해보면 배달 앱에서 주문할 시 일부 메뉴만 800원 더 비싸다.

해당 소식에 온라인은 들끓는 분위기다. 지난 1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오늘 자 한솥도시락 공지로 난리 난 내용'이라는 제목의 글이 확산하기도 했다.

누리꾼들은 "진짜 배달 앱 쓰지 말아야겠다", "30%는 오버고 배달 매출의 최소 20% 이상 가져간다", "배달 매출의 30%는 선 넘은 거 아닌가" 등 반응을 보였다.

한솥도시락 외에 맥도날드, 롯데리아 등 햄버거 프랜차이즈부터 메가MGC커피, 컴포즈 등 카페 프랜차이즈 등은 이미 이중가격제를 도입한 상태다.

배달앱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7월 정부 주도로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가 출범했지만 지난달 24일 열린 5차 회의에서도 이렇다 할 중재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

[관련기사]
















박효주 기자 ap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