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업주들, 차등 수수료안 거부…배민, 국회서 "면밀히 협의"
배달앱 수수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꾸린 상생협의체 6차 회의에서 ‘배달의민족(배민)’이 제시한 상생안을 입점업체들이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배달앱 입점업체와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열린 회의에서 배민은 배달앱 매출액 기준 상위 60% 점주에게 기존과 같은 9.8%의 중개수수료율을 적용하는 상생안을 제시했다. 상위 60∼80%에는 4.9∼6.8%를, 상위 80∼100%에는 2%를 각각 적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배민의 제시안을 두고 입점업체들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입점업체 관계자는 “앞서 배민이 제시했다고 한 상생안 보다 후퇴한 수준”이라며 “회의에서 배민 쪽은 해당 안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입점업체가 1000∼1500원 소비자 할인 혜택을 부담할 것을 요구했다. 결국 수수료 인하를 안 하겠다는 것으로밖에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배민은 매출 상위 40% 이상에 중개수수료율 9.8%를 적용하는 방식을 제시한 바 있다.
입점단체들은 배민의 상생안을 거부하고, 중개수수료율 상한을 5%로 제한하는 방안을 요구했다. 또 다른 입점업체 관계자는 “일단 최대 중개수수료율을 5%로 내린 뒤 차등 수수료를 적용하자는 게 입점업체들의 요구”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국회 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피터얀 반데비트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운영사) 대표는 ‘한국 사업을 언제까지 할 것이냐’는 정진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한국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이해관계자와 면밀히 협의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는 ‘쿠팡이츠가 무료 배달을 하며 입점업체들을 괴롭히고 있다’는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무료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배달비 부담으로 소비가 위축되지 않도록 회사가 이를 분담하고자 하는 목적”이라며 “고객 부담 배달비를 회사가 다 분담하는 것이다.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은 검토하고 필요한 것은 개선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