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배민의 거짓말
[서울신문]“외식업주님들의 고충을 세심히 배려하지 못하고 새 요금제를 도입하면서 혼란과 부담을 끼쳐 드리고 말았습니다. 상심하고 실망하신 업주님들께 다시 한번 깊은 사과를 드립니다. 앞으로 주요 정책의 변화는 업주님들과 상시로 소통해 결정하겠습니다.”
국내 배달앱 업계 1위인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2020년 4월 기존 정액제(월 8만 8000원) 대신 주문 1건당 수수료 5.8%를 부과하는 정률제로 요금제를 변경하겠다고 발표한 지 열흘 만에 전면 철회를 선언하고 내놨던 사과문이다. 업주들이 “유례없는 수수료 폭등”이라며 불매운동을 벌이겠다고 으름장을 놓자 배민은 백기를 들었다.
배민은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반년 동안 거리에서 모은 5만장의 음식점 메뉴 전단을 기반으로 만든 앱으로 2010년 탄생했다. 식당에서 한 번 홍보 전단을 찍어 뿌리는 데 15만원 정도가 든다는 점에 착안해 업주로부터 그 절반 수준 가격(8만 8000원)을 받아 월정액으로 운용하며 시장점유율을 60%까지 넓혀 왔다.
독과점 사업자로 아성을 공고히 한 뒤부터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2021년 배달 1건당 1000원으로 수수료를 올리더니 이듬해인 2022년 1월부터는 아예 음식값의 6.8%를 수수료로 받는 정률제를 도입했다. 정률제 방식은 소액 주문에는 업주에게 유리할 수 있지만 건수와 금액이 커질수록 배민에 이득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8월에는 수수료를 9.8%로 직전보다 무려 44%나 폭풍 인상했다.
가격결정권을 쥔 사업자가 이익이 증가하는데도 수수료를 올리는 건 횡포라는 지탄이 쏟아졌지만 2020년과 달리 물러설 기미는 없었다. 오히려 경쟁자인 쿠팡이츠가 수수료를 9.8% 받는 상황에서 업계 최저 수수료율인 6.8%를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는 말도 안 되는 소리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음식 배달 서비스는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을 기점으로 거래액이 17조 3000억원(2019년)에서 26조 6000억원(2022년)으로 10조원 가까이 폭증했다가 코로나19 비상사태가 해제된 2023년 26조 400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배민의 영업이익은 배달 서비스 거래액이 정점을 찍은 2022년 4200억원에서 하향세로 전환한 2023년 오히려 7000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거리두기 해제로 배달 주문 자체가 줄어든 상황에서 배민만 이익이 늘었다는 것은 파트너인 업주들이 그만큼 손해를 봤다는 얘기다.
배민은 향후 3년간 매출 상위 60% 업주에는 수수료 9.8%를 유지하고 60~80%의 업주에는 6.8%를 차등 적용하겠다는 대안을 내놨지만 여전히 수긍하기는 어렵다. 지난해 6.8%를 일률 적용했을 때도 이미 수천억원의 이익을 냈다.
“낮은 가격으로 경쟁자를 없애고 시장을 독점한 뒤 가격을 올려 받는 약탈적 횡포”(윤석열 대통령)라는 질타 이후 최근까지 1000억원에 가까운 과징금을 때려 맞은 카카오모빌리티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387억원으로 전년보다 26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7000억원으로 3000억원 가까이 늘어난 독과점 배달 앱 배민의 수수료 폭탄 문제에는 얼마를 물려야 적당한지 궁금해진다.
배민을 자극했다는 쿠팡이츠도 문제다. 점유율이 배민의 절반도 안 되는 20%대이지만 쿠팡을 이용하는 와우 회원(월 7890원)에게 음식 무료 배달 서비스를 하며 시장을 키우고 있다. 구글이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자에게 유튜브 뮤직을 끼워팔고 있다는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받고 있는데 쿠팡이츠의 무료 배달도 같은 맥락에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배민의 이익은 파트너인 업주로부터 나오는 만큼 수수료 폭탄은 거위의 배를 가르는 짓이다. 정책 변화는 소통하에 결정하겠다는 원칙이 거짓말이 되지 않도록 업주들이 만족할 상생안으로 문제를 해결하길 바란다.
주현진 산업부장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국내 배달앱 업계 1위인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2020년 4월 기존 정액제(월 8만 8000원) 대신 주문 1건당 수수료 5.8%를 부과하는 정률제로 요금제를 변경하겠다고 발표한 지 열흘 만에 전면 철회를 선언하고 내놨던 사과문이다. 업주들이 “유례없는 수수료 폭등”이라며 불매운동을 벌이겠다고 으름장을 놓자 배민은 백기를 들었다.
배민은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반년 동안 거리에서 모은 5만장의 음식점 메뉴 전단을 기반으로 만든 앱으로 2010년 탄생했다. 식당에서 한 번 홍보 전단을 찍어 뿌리는 데 15만원 정도가 든다는 점에 착안해 업주로부터 그 절반 수준 가격(8만 8000원)을 받아 월정액으로 운용하며 시장점유율을 60%까지 넓혀 왔다.
독과점 사업자로 아성을 공고히 한 뒤부터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2021년 배달 1건당 1000원으로 수수료를 올리더니 이듬해인 2022년 1월부터는 아예 음식값의 6.8%를 수수료로 받는 정률제를 도입했다. 정률제 방식은 소액 주문에는 업주에게 유리할 수 있지만 건수와 금액이 커질수록 배민에 이득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8월에는 수수료를 9.8%로 직전보다 무려 44%나 폭풍 인상했다.
가격결정권을 쥔 사업자가 이익이 증가하는데도 수수료를 올리는 건 횡포라는 지탄이 쏟아졌지만 2020년과 달리 물러설 기미는 없었다. 오히려 경쟁자인 쿠팡이츠가 수수료를 9.8% 받는 상황에서 업계 최저 수수료율인 6.8%를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는 말도 안 되는 소리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음식 배달 서비스는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을 기점으로 거래액이 17조 3000억원(2019년)에서 26조 6000억원(2022년)으로 10조원 가까이 폭증했다가 코로나19 비상사태가 해제된 2023년 26조 400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배민의 영업이익은 배달 서비스 거래액이 정점을 찍은 2022년 4200억원에서 하향세로 전환한 2023년 오히려 7000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거리두기 해제로 배달 주문 자체가 줄어든 상황에서 배민만 이익이 늘었다는 것은 파트너인 업주들이 그만큼 손해를 봤다는 얘기다.
배민은 향후 3년간 매출 상위 60% 업주에는 수수료 9.8%를 유지하고 60~80%의 업주에는 6.8%를 차등 적용하겠다는 대안을 내놨지만 여전히 수긍하기는 어렵다. 지난해 6.8%를 일률 적용했을 때도 이미 수천억원의 이익을 냈다.
“낮은 가격으로 경쟁자를 없애고 시장을 독점한 뒤 가격을 올려 받는 약탈적 횡포”(윤석열 대통령)라는 질타 이후 최근까지 1000억원에 가까운 과징금을 때려 맞은 카카오모빌리티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387억원으로 전년보다 26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7000억원으로 3000억원 가까이 늘어난 독과점 배달 앱 배민의 수수료 폭탄 문제에는 얼마를 물려야 적당한지 궁금해진다.
배민을 자극했다는 쿠팡이츠도 문제다. 점유율이 배민의 절반도 안 되는 20%대이지만 쿠팡을 이용하는 와우 회원(월 7890원)에게 음식 무료 배달 서비스를 하며 시장을 키우고 있다. 구글이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자에게 유튜브 뮤직을 끼워팔고 있다는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받고 있는데 쿠팡이츠의 무료 배달도 같은 맥락에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배민의 이익은 파트너인 업주로부터 나오는 만큼 수수료 폭탄은 거위의 배를 가르는 짓이다. 정책 변화는 소통하에 결정하겠다는 원칙이 거짓말이 되지 않도록 업주들이 만족할 상생안으로 문제를 해결하길 바란다.
주현진 산업부장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