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단독]입점사들 공공배달앱 키우기 나선다…'착한 이중가격제' 본격화 할까

- 서울시, '공공배달앱 활성화' 회의
- 공공배달앱 가격 경쟁력 높이기 핵심
- "단체들과 활성화 방안 다방면 논의 중"
- 입점 단체들 배달 플랫폼 압박 수위↑
[이데일리 한전진 기자] 배달 플랫폼에 대항하기 위해 한국프랜차이즈협회 등 입점 단체들이 공공 배달앱 키우기에 공식적으로 나선다. 배달 플랫폼 독과점이 더이상 강해지면 안된다는 위기의식에서다. 이들은 서울시와 공공배달앱 홍보 및 가격 경쟁력 강화 등 방안을 논의 중이다. 현재 ‘배달앱 상생협의체’가 진행 중인만큼 배달앱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 앞에서 라이더유니온, 공정한플랫폼을위한사장님모임,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 관계자 등이 배달의민족 수수료 인상 규탄 및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한국프랜차이즈협회, 소상공인연합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등 배달 플랫폼 입점 유관 단체들과 공공배달앱 활성화 회의(가칭)를 진행 중이다. 공공배달앱 활성화로 자영업자 수수료 부담을 줄여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영업자를 돕자는 방안에 뜻을 모은 것”이라며 “단체들도 적극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현재 서울시 공공배달앱에는 ‘위메프오’, ‘땡겨요’, ‘먹깨비’ 등이 있다. 공공배달앱은 지난 2020년초 등장해 여러 지자체에서 홍보에 나섰지만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입점사 부족과 난해한 사용자 환경(UI) 등이 이유로 꼽힌다. 이 때문에 인지도도 낮았다. 실제로 앱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서울시 공공배달앱 점유율은 지난 10월말 기준(안드로이드) 3.05%다.


공공배달앱은 현재 입점 업체에 1~2%의 낮은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입점사와 소비자도 등을 돌리기 시작하면서 그 의미가 퇴색한 상황이다. 이른바 ‘규모의 경제’ 자체가 기존 배달 플랫폼(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에 밀리면서 가격 경쟁력도 낮아지고 있다. 공공배달앱에서는 주문 자체가 발생하지 않으니 차라리 기존 배달앱 프로모션에 집중하는 식이다.

이 회의는 공공배달앱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골자다. 앞서 입점 단체들은 공공배달앱 사용 캠페인 등을 벌였지만 큰 소득이 없었다. 구체적인 유인책과 혜택이 없어서다.

현재 공공배달앱 가격은 기존 배달앱보다 낮게 책정하는 등 논의가 진행 중이다. 가령 매장 수령가격을 배달앱 가격보다 싸게 판매하는 ‘이중 가격제’와 같은 방식이다.

분산된 공공배달앱 영향력을 한데 모으는 방안에 대해서도 얘기가 나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배달앱 활성화 방법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 중인 단계”라며 “구체적 결과를 도출한 사항은 아직 없다”고 말을 아꼈다.

회의는 오는 연말까지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내년 1월 시행하는 것이 목표다.

배달 플랫폼 입점 단체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에 공공배달앱이 분산되어 따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 선거로 진행 주체가 달라지면 정책이 흐지부지 되는 점 등 공공배달앱에 대한 문제점을 전달했다”며 “기존 배달 플랫폼의 독과점 상황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배달앱 상생협의체가 지지부진하면서 입점 단체들이 공세 수위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배달 플랫폼과 입점 단체들은 지난 7월부터 배달앱 수수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배달앱 상생협의체 회의를 진행 중이다. 현재 9차례 회의를 개최했지만 수수료율에 대한 이견 차가 커 합의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마감 기한인 10월을 넘겨 11월에 접어들었다.

이들이 결론을 내지 못하면 협의체 공익위원이 낸 중재안을 토대로 정부가 최종 권고안을 내야 한다. 이들은 이날 오후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10차 회의를 연다. 앞서 공익위는 ‘매출 상위 80% 입점 업체에 6.8% 수수료 부과’ 중재안을 냈지만 배달 플랫폼과 입점 단체 모두 부정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오늘도 최종안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한 플랫폼 입점 단체 관계자는 “입점 단체 단일안인 수수료율 5%가 마지노선”이라며 “6.8% 수수료율은 배달의민족의 기존 수수료 체계와 동일해 사실상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공공배달앱이 제대로 된 경쟁력을 갖춰 독과점 체제에 변화에 변화를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






[]
[]
[]
[]
[]
[]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한전진 noreturn@